- 목차 (Content)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 2022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 경기청년기본소득 2022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 3분기 2022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 지급일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3분기 청년기본소득 지급일 2022 청년기본소득 청년기본소득 사용처
함께 보면 좋은 정보들
알아두면 좋은 정보 모음집.zip 카톡, 텔레그램, 문자로 소중한 지인들에게 공유해보세요~ |
|||
🍯경기도청년기본소득 (신청하기) | 상생소비복권kr (바로보기) | 청년도약준비금 (바로가기) | 지역별 지원금 총정리 |
DISC MBTI 테스트하기 | 건강보험 환급금 (신청하기) | 무주택 청년월세지원 (알아보기) |
2022경기도청년기본소득 신청
주요 체크사항!
- 01신청기간2022.09.01.(목) 09:00 ~ 2022.09.30.(금) 18:00
- 02신청조건신청일 기준 경기도 거주
(최근 3년이상 계속 또는 합산 10년이상)1997년 7월 2일 ~ 1998년 7월 1일 내 출생자
(7.1. 기준 만 24세)

청년기본소득이란?
행복추구, 삶의 질 향상, 건강 수준 향상 등 청년의 사회적 기본권 보장을 지원하기 위해 분기별 25만원을 지급하는 경기도형 기본소득제도
청년기본소득 한눈에 알아보기
지급대상신청일 기준 경기도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만 24세 청년으로- 최근 3년 이상 주민등록을 두고 계속 거주 경우 또는 합산 10년 이상 주민등록을 두게되는 경우지급내용분기별 25만원 지급 (최대 4분기 지원)지급일정분기별연령 기준일지급 대상자 생년월일신청 기간심사·선정기간지급 개시
1분기 | '22.01.01. | '97.01.02. ~ '98.01.01. | '22.03.02. ~ 04.01. | '22.03.16. ~ 04.13. | 04.20. |
2분기 | '22.04.01. | '97.04.02. ~ '98.04.01. | '22.06.02. ~ 07.01. | '22.06.16. ~ 07.13. | 07.20. |
3분기 | '22.07.01. | '97.07.02. ~ '98.07.01. | '22.09.01. ~ 09.30. | '22.09.15. ~ 10.13. | 10.20. |
4분기 | '22.10.01. | '97.10.02. ~ '98.10.01. | '22.11.01. ~ 11.30. | '22.11.15. ~ 12.13. | 12.20. |
※ 지급개시일은 부득이한 경우에 변경될 수 있음(시군별 상이)
지급방법시군 지역화폐 (카드, 모바일, 지류) 카드 모바일 지로* 성남 : 카드 또는 모바일 / 시흥, 김포 : 모바일 / 그 외 시군 : 카드
* 지역화폐 안내 : 경기지역화폐(바로가기)
(사용지역) 초본 상 주소지 시군 내에서만 사용 원칙(사용처) 전통시장 및 소상공인 업체(백화점, 대형마트, SSM, 유흥업소, 연매출 10억원 이상 점포는 제외)
* 기존 수령자 중 자동신청에 동의하신 분은 자동신청 되므로, 별도로 신청할 필요 없음
신청내용* 본인이 몇분기부터 지급대상자인지 확인하기
* (지난 분기 소급) '21년 4분기 ~ '22년 2분기 지급받지 못한 분기가 있다면 해당 분기 체크
* (기초생활수급자 여부) 수급자의 경우 분기별 지급이 아닌 일시금으로 지급
* 기타 인적사항 작성
* 대리인 범위 : 부모, 배우자
* 다만, 1촌 직계혈족과 그 배우자가 사망·해외거주·시설입소 등 부득이한 사유로 대리신청이 불가할 경우
주민등록등본 상 세대를 같이하는 조부모, 형제자매, 4촌 이내 친족,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성년후견인 등에 한해 대리신청 허용
* 대리인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인 경우, 사회시설 입소확인서와 대리인의 근무확인서 첨부
소급신청2022년 7월 1일 기준 만24세 청년에 한해서, 지난 분기 미신청분 추가신청 가능※ 소급 신청 분기 기준 거주요건 미충족시 소급지급 불가
신청서 상 해당분기 소급신청 항목 “예” 선택소급신청 분지급 대상자 생년월일
2021년 4분기 | '97.07.02 ~ '97.10.01. |
2022년 1분기 | '97.07.02 ~ '98.01.01. |
2022년 2분기 | '97.07.02 ~ '98.04.01. |
<예시1> 97년 7월 2일생 청년이 처음 신청하는 경우
→ 2021년 4분기 ~ 2022년 2분기를 지급받지 못했으므로 2021년 4분기, 2022년 1분기, 2분기 소급신청 항목 “예” 선택
<예시2> 98년 1월 2일생 청년이 처음 신청하는 경우
→ 2022년 2분기를 지급받지 못했으므로 2022년 2분기 소급신청 항목 “예” 선택
<예시> 98년 2월생 기초생활수급자 청년이 처음 신청하는 경우
→ 2022년 2분기 소급신청 항목 “예” 선택 & 기초생활수급자여부 “예” 선택 시 100만원 일시금 지급 (거주요건 충족 시)
※ 22년 3분기 신청대상자가 아닌 ‘94.1.2.~97.7.1. 출생 저소득 청년의 경우 별도의 소급신청페이지에서 예외적 소급신청 가능
제출서류 첨부파일[필수서류]① 주민등록초본(22년 9월 1일 이후 발급본)
※ 마이데이터로 초본 제출 시 별도 첨부 불필요
※ 최근 5년(주민등록 계속 3년 이상 거주자) 또는 전체(주민등록 합산 10년 이상) 주소변동사항
※ 발생일, 신고일, 변동사유, 주민등록 번호 뒷자리 포함
② 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22년 9월 1일 이후 발급본) <해당자에 한함>
[선택서류] 신청 위임장, 지역화폐 등록 위임장, 청년 본인과 대리인의 관계증빙서류* 청년 본인이 아닌 대리인에게 지역화폐 등록을 위임할 경우에 위임장, 증빙서류 제출
<증빙서류 예시1> 대리인이 부모님 : 가족관계 증명서 또는 주민등록등본
<증빙서류 예시2> 대리인이 세대를 같이 하는 조부모, 형제 : 주민등록등본
유의사항
기존 수령자 중에 자동신청에 동의하신 청년은 자동신청처리 되어 별도로 신청하지 않아도 됩니다.* (신청확인 방법) 로그인-신청현황-청년기본소득 3분기
* (정보수정 방법) 로그인-신청현황-청년기본소득 3분기-보완하기(신청서 하단)
※ 개명, 주소지 및 연락처 변경 시 정보수정(초본 추가 제출)이 필요하며 개인정보 불일치로 인한 지원금 지급 불가 등의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책임은 신청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자동신청에 동의하였는데, 주소 또는 휴대폰번호가 바뀌었어요. 어떻게 하나요?
- 신규 신청하실 필요 없이 3분기 신청기간 내에 신청정보를 수정하시면 됩니다.
단, 관할 시·군이 변경되었을 경우 초본(신청일 기준)을 추가 제출하셔야 합니다.
(신청현황-3분기-신청확인하기-보완하기-신청정보 수정) - 이전 분기에 자동신청 동의하였는데, 지난 분기 추가신청(소급신청) 할 수 있나요?
- 3분기 신청기간 내에 신청정보를 수정하시면 됩니다. (신청현황-청년기본소득 3분기-보완하기-지난 분기 소급신청 “예”로 체크)
* 자동신청에 미동의 또는 지난분기 미선정자의 경우 새로 신청하셔야 합니다.
※ 접수마감일 이후 취소는 10월 13일 18:00까지 해당 시·군에 취소신청서 직접제출(자세한 내용은 FAQ 확인)
지역화폐 안내사항
주민등록초본 상 주소지 시군의 지역화폐에 정책수당으로 지급기존 지역화폐 카드 발급자의 경우, 정보를 잘못 입력하거나 개명, 핸드폰번호 변경 시 카드가 재배송 될 수 있음(이름, 생년월일, 핸드폰 번호가 일치해야 기존 카드에 정책수당이 지급됨)[성남]청년기본소득 신청기간에 별도 지역화폐 신청이 필요함(모바일) 본인 명의 휴대전화의 모바일 앱 설치(‘지역상품권chak’) 후 회원가입(전자카드) 신한카드콜센터(1544-7000) 및 신한카드 홈페이지에서 ‘청년배당’ 검색 후 성남사랑카드 발급성남시 지역화페 신청 관련 문의 : 성남시 콜센터(1577-3100) 및 주민센터[시흥](모바일) 본인 명의 휴대전화의 모바일 앱 설치(‘지역상품권chak’) 후 회원가입한국조폐공사 콜센터 : 1577-4321[김포]청년기본소득 신청과 별개로 ‘김포페이’ 발급이 필요함(지급일 5일전까지)(모바일) 지역화폐 신청자 명의 휴대전화로 모바일 앱 설치(‘김포페이’) 후 회원가입 및 모바일 카드 발급김포페이 문의 : 1811-6020[그외 28개 시군](지역화폐 카드 미발급자 경우) 수령한 전자카드(일반우편으로 공카드 배송)를 등록하여야만 정책수당 지급완료
- 본인 명의 휴대전화의 모바일 어플(‘경기지역화폐’)로 카드등록
- 본인 명의 휴대전화 미보유시 PC 인터넷 회원가입(https://gmoney.usersite.co.kr/login) 후 카드등록
문의처시군 청년기본소득 담당부서
신청절차 등 문의: 시군 청년기본소득 담당부서(아래 표 참고), 경기도 콜센터(031-120)수원시 | 콜센터 | 1899-3300 | 청년정책관 | 031-228-3963, 3955 |
고양시 | 콜센터 | 031-909-9000 | 청년담당관 | 031-8075-2724 |
용인시 | 콜센터 | 1577-1122 | ||
성남시 | 콜센터 | 1577-3100 | 상대원2동 | 031-729-6756 |
수정구청 | 031-729-5213 | 상대원3동 | 031-729-6879 | |
신흥1동 | 031-729-5615 | 하대원동 | 031-729-6829 | |
신흥2동 | 031-729-5077 | 도촌동 | 031-729-6890 | |
신흥3동 | 031-729-5648 | 분당구청 | 031-729-7211 | |
태평1동 | 031-729-5671 | 분당동 | 031-729-8104 | |
태평2동 | 031-729-5693 | 수내1동 | 031-729-8113 | |
태평3동 | 031-729-5997 | 수내2동 | 031-729-8123 | |
태평4동 | 031-729-5734 | 수내3동 | 031-729-8134 | |
수진1동 | 031-729-5138 | 정자동 | 031-729-8144 | |
수진2동 | 031-729-5944 | 정자1동 | 031-729-8274 | |
단대동 | 031-729-5795 | 정자2동 | 031-729-8154 | |
산성동 | 031-729-5318 | 정자3동 | 031-729-8164 | |
양지동 | 031-729-5835 | 서현1동 | 031-729-8175 | |
복정동 | 031-729-5308 | 서현2동 | 031-729-8184 | |
위례동 | 031-729-5966 | 이매1동 | 031-729-8195 | |
신촌동 | 031-729-5874 | 이매2동 | 031-729-8203 | |
고등동 | 031-729-5893 | 야탑1동 | 031-729-8214 | |
시흥동 | 031-729-5914 | 야탑2동 | 031-729-8224 | |
중원구청 | 031-729-6211 | 야탑3동 | 031-729-8237 | |
성남동 | 031-729-6835 | 금곡동 | 031-729-8280 | |
중앙동 | 031-729-6635 | 구미동 | 031-729-8297 | |
금광1동 | 031-729-6647 | 구미1동 | 031-729-8414 | |
금광2동 | 031-729-6855 | 판교동 | 031-729-8427 | |
은행1동 | 031-729-6694 | 삼평동 | 031-729-8434 | |
은행2동 | 031-729-6864 | 백현동 | 031-729-8334 | |
상대원1동 | 031-729-6912 | 운중동 | 031-729-8444 | |
부천시 | 콜센터 | 032-320-3000 | ||
안산시 | 콜센터 | 1666-1234 | 청년정책과 | 031-481-3093 031-369-1604 |
화성시 | 콜센터 | 1577-4200 | 여성가족과 | 031-5189-6420 |
남양주시 | 미래인재과 | 031-590-8512 | ||
와부읍 | 031-590-8208 | 조안면 | 031-590-4957 | |
진전읍 | 031-590-5831 | 별내동 | 031-590-8508 | |
화도읍 | 031-590-4053 | 호평동 | 031-590-2852 | |
진건읍 | 031-590-4884 | 평내동 | 031-590-8573 | |
오남읍 | 031-590-1432 | 금곡동 | 031-590-2326 | |
퇴계원읍 | 031-590-4931 | 양정동 | 031-590-2984 | |
별내면 | 031-590-4918 | 다산1동 | 031-590-1941 | |
수동면 | 031-590-4943 | 다산2동 | 031-590-2675 | |
안양시 | 콜센터 | 031-8045-7000 | 청년정책관 | 031-8045-5788 |
안양1동 | 031-8045-3761 | 안양2동 | 031-8045-3778 | |
안양3동 | 031-8045-3780 | 안양4동 | 031-8045-3791 | |
안양5동 | 031-8045-3643 | 안양6동 | 031-8045-3910 | |
안양7동 | 031-8045-3920 | 안양8동 | 031-8045-3679 | |
안양9동 | 031-8045-3940 | 석수1동 | 031-8045-3889 | |
석수2동 | 031-8045-3960 | 석수3동 | 031-8045-3713 | |
박달1동 | 031-8045-3986 | 박달2동 | 031-8045-3995 | |
비산1동 | 031-8045-4603 | 비산2동 | 031-8045-4612 | |
비산3동 | 031-8045-4624 | 부흥동 | 031-8045-4076 | |
달안동 | 031-8045-4339 | 관양1동 | 031-8045-4652 | |
관양2동 | 031-8045-4664 | 부림동 | 031-8045-4785 | |
평촌동 | 031-8045-4125 | 평안동 | 031-8045-4132 | |
귀인동 | 031-8045-4432 | 호계1동 | 031-8045-4167 | |
호계2동 | 031-8045-4171 | 호계3동 | 031-8045-4739 | |
범계동 | 031-8045-4195 | 신촌동 | 031-8045-4758 | |
갈산동 | 031-8045-4438 | |||
평택시 | 복지정책과 | 031-8024-3045 | 송탄동 | 031-8024-7011 |
팽성읍 | 031-8024-5621 | 지산동 | 031-8024-7052 | |
안중읍 | 031-8024-8522 | 송북동 | 031-8024-7082 | |
포승읍 | 031-8024-8723 | 신장1동 | 031-8024-7118 | |
청북읍 | 031-8024-8764 | 신장2동 | 031-8024-7154 | |
진위면 | 031-8024-6720 | 신평동 | 031-8024-5685 | |
서탄면 | 031-8024-6821 | 원평동 | 031-8024-5721 | |
고덕면 | 031-8024-6851 | 통복동 | 031-8024-5751 | |
오성면 | 031-8024-8813 | 비전1동 | 031-8024-5787 | |
현덕면 | 031-8024-8913 | 비전2동 | 031-8024-5823 | |
중앙동 | 031-8024-6924 | 세교동 | 031-8024-5858 | |
서정동 | 031-8024-6959 | 용이동 | 031-8024-5882 | |
의정부시 | 동삭동 | 031-8024-5598 | 고덕동 | 031-8024-7195 |
흥선동 | 031-870-6872 | 송산3동 | 031-870-7662 | |
호원1동 | 031-870-7346 | 의정부1동 | 031-870-6987 | |
호원2동 | 031-870-7192 | 의정부2동 | 031-870-7312 | |
신곡1동 | 031-870-7434 | 장암동 | 031-870-7563 | |
신곡2동 | 031-870-7592 | 자금동 | 031-870-7855 | |
송산1동 | 031-870-7813 | 가능동 | 031-870-7055 | |
송산2동 | 031-870-7714 | 녹양동 | 031-870-7092 | |
파주시 | 청년정책담당관 | 031-940-8662 | 파평면 | 031-940-8168 |
문산읍 | 031-940-8274 | 교하동 | 031-940-7603 | |
조리읍 | 031-940-8135 | 운정1동 | 031-820-7703 | |
법원읍 | 031-940-8054 | 운정2동 | 031-820-7746 | |
파주읍 | 031-940-8033 | 운정3동 | 031-820-7656 | |
광탄면 | 031-940-8543 | 금촌1동 | 031-940-8578 | |
탄현면 | 031-940-8095 | 금촌2동 | 031-940-8593 | |
월롱면 | 031-940-8073 | 금촌3동 | 031-940-8750 | |
적성면 | 031-940-8557 | 장단면 | 031-940-8252 | |
시흥시 | 청년청소년과 | 031-310-2059,3695,3199 | ||
김포시 | 콜센터 | 031-980-2114 | ||
광명시 | 콜센터 | 1688-3399 | ||
광주시 | 오포읍 | 031-760-4854 | 경안동 | 031-760-4567 |
초월읍 | 031-760-4755 | 송정동 | 031-760-1942 | |
곤지암읍 | 031-760-2444 | 쌍령동 | 031-760-1919 | |
도척면 | 031-760-4939 | 광남 1동 | 031-760-1973 | |
퇴촌면 | 031-760-4812 | 광남 2동 | 031-760-4521 | |
남종면 | 031-760-4974 | 탄벌동 | 031-760-4523 | |
남한산성면 | 031-760-4986 | |||
군포시 | 청소년청년정책과 | 031-390-0567,0790 | ||
이천시 | 일자리정책과 | 031-644-4183 | ||
장호원읍 | 031-644-8417 | 모가면 | 031-644-8648 | |
부발읍 | 031-644-8455 | 설성면 | 031-644-8668 | |
신둔면 | 031-644-8506 | 율 면 | 031-644-8694 | |
백사면 | 031-644-8529 | 창전동 | 031-644-8735 | |
호법면 | 031-644-8548 | 증포동 | 031-644-3871 | |
마장면 | 031-644-8577 | 중리동 | 031-644-8769 | |
대월면 | 031-644-8615 | 관고동 | 031-644-8792 | |
오산시 | 아동청소년과 | 031-8036-7895 | ||
중앙동 | 031-8036-6208 | 남촌동 | 031-8036-6280 | |
대원동 | 031-8036-6235 | 세마동 | 031-8036-6559 | |
신장동 | 031-8036-6288 | 초평동 | 031-8036-6363 | |
하남시 | 일자리경제과 | 031-5182-1243 | 미사1동 | 031-5182-1120 |
천현동 | 031-790-5558 | 미사2동 | 031-790-6912 | |
신장1동 | 031-790-5965 | 감북동 | 031-5182-1118 | |
신장2동 | 031-790-5441 | 감일동 | 031-790-6600 | |
덕풍1동 | 031-790-5649 | 위례동 | 031-790-5517 | |
덕풍2동 | 031-790-5712 | 춘궁동 | 031-790-6618 | |
덕풍3동 | 031-790-6650 | 초이동 | 031-790-5590 | |
풍산동 | 031-790-5803 | |||
양주시 | 사회복지과 | 031-8082-5706 | 양주1동 | 031-8082-7712 |
백석읍 | 031-8082-7511 | 양주2동 | 031-8082-7733 031-8082-7736 |
|
은현면 | 031-8082-7553 | 회천1동 | 031-8082-7793 | |
남면 | 031-8082-7582 | 회천2동 | 031-8082-7812 | |
광적면 | 031-8082-7611 | 회천3동 | 031-8082-7833 | |
장흥면 | 031-8082-7641 | 회천4동 | 031-8082-7857 | |
구리시 | 소통공보담당관 | 031-550-2143 | ||
갈매동 | 031-550-8984 | 교문2동 | 031-550-8534 | |
동구동 | 031-550-2662 | 수택1동 | 031-550-8488 | |
인창동 | 031-550-2693 | 수택2동 | 031-550-8595 | |
교문1동 | 031-550-8525 | 수택3동 | 031-550-8714 | |
안성시 | 교육청소년과 | 031-678-6859 | 서운면 | 031-678-3746 |
고삼면 | 031-678-3986 | 양성면 | 031-678-3838 | |
공도읍 | 031-678-3645 | 원곡면 | 031-678-3868 | |
금광면 | 031-678-3718 | 일죽면 | 031-678-3632 | |
대덕면 | 031-678-5463 | 죽산면 | 031-678-3926 | |
미양면 | 031-678-3777 | 안성1동 | 031-678-4015 | |
보개면 | 031-678-3688 | 안성2동 | 031-678-4032 | |
삼죽면 | 031-678-3957 | 안성3동 | 031-678-4052 | |
포천시 | 일자리경제과 | 031-538-2562 | ||
소흘읍 | 031-538-4152 | 일동면 | 031-538-4534 | |
군내면 | 031-538-4206 | 이동면 | 031-538-4553 | |
내촌면 | 031-538-4262 | 영북면 | 031-538-4634 | |
가산면 | 031-538-4312 | 관인면 | 031-538-4663 | |
신북면 | 031-538-4363 | 화현면 | 031-538-4713 | |
창수면 | 031-538-4413 | 포천동 | 031-538-4773 | |
영중면 | 031-538-4474 | 선단동 | 031-538-4812 | |
의왕시 | 일자리과 | 031-345-2714 | ||
여주시 | 가남읍 | 031-887-3421 | 대신면 | 031-887-3935 |
점동면 | 031-887-3816 | 북내면 | 031-887-3954 | |
세종대왕면 | 031-887-3855 | 강천면 | 031-887-3994 | |
흥천면 | 031-887-3883 | 여흥동 | 031-887-3777 | |
금사면 | 031-887-3903 | 중앙동 | 031-887-3436 | |
산북면 | 031-887-3929 | 오학동 | 031-887-3476 | |
양평군 | 일자리경제과 | 031-770-2626 | 단월면 | 031-770-3211 |
양평읍 | 031-770-3031 | 청운면 | 031-770-3232 | |
강상면 | 031-770-3061 | 양동면 | 031-770-3263 | |
강하면 | 031-770-3073 | 지평면 | 031-770-3301 | |
양서면 | 031-770-3122 | 용문면 | 031-770-3316 | |
옥천면 | 031-770-3151 | 개군면 | 031-770-3362 | |
서종면 | 031-770-3165 | 지평면 | 031-770-3301 | |
동두천시 | 복지정책과 | 031-860-2212 | ||
생연1동 | 031-860-3017 | 불현동 | 031-860-3106 | |
생연2동 | 031-860-3036 | 송내동 | 031-860-3143 | |
중앙동 | 031-860-3059 | 소요동 | 031-860-3153 | |
보산동 | 031-860-3075 | 상패동 | 031-860-3166 | |
과천시 | 복지정책과 | 02-3677-2866 | ||
가평군 | 복지정책과 | 031-580-2211 | ||
연천군 | 복지정책과 | 031-839-2279 |
2022 경기도청년지원금 3분기 기본소득 신청
2022 경기도 청년 지원금 |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 2022 경기도 청년 지원금 3분기
매 분기별 25만원 연간 총 100만원의 지원금을 지원하는 2022 경기도청년지원금 3분기 청년기본소득 접수가 시작되었습니다. 여타 지역과는 다른 특색있는 경기도 청년 지원금 기본소득에 대해서 알아보고 신청 가능한지 그리고 2022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 신청 대상 및 신청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

경기도청년기본소득
2022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 지원금 3분기 신청
청년기본소득이란? 경기도 청년들의 사회적 기본권 실현을 위한 경기도형 기본소득제도입니다.
2022경기도청년기본소득 *분기 신청 #2022경기청년기본소득 #2022년경기도청년기본소득 #2022년경기도청년지원금 #2022년경기청년지원금 #경기청년기본소득신청 #경기도청년지원금25만원 #경기청년기본소득100만원 #경기도만24세청년기본소득 #청년기본소득신청

경기도청년지원금3분기청년기본소득
2022 경기도 청년 지원금 기본소득 신청
지원대상 경기도에 사는 만 24세 청년으로 경기도 3년이상 계속 또는 합산 10년이상 거주자를 대상으로 2022 경기도 청년 지원금 청년기본소득을 지원합니다.
2022년 9월 1일부터 접수를 받는 2022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은 9월 30일까지 신청을 받으며, 3분기로 2022년 7월 1일 연령 기준일 기준. 1997년 7월 2일부터 ~ 1998년 7월 1일까지가 지급 대상자입니다. 신청을 하고 나면 심사를 통해 검토를 거쳐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지급을 2022년 10월 20일부터 지급개시합니다.

2022 청년기본소득 대상
청년 기본소득 3분기 청년 지원금 신청
경기도 청년 기본 소득 경기도청년지원금 지원 대상이라면 분기별 25만원 최대 4분기 지원으로 총 100만원까지 경기도청년기본소득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2022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 지원금은 9월 3분기, 11월 4분기 각각 두개 분기별 접수가 남았읍니다. 분기별 지급대상자를 꼭 확인하시고, 지급방식은 모바일 카드, 아이콘 시·군별 경기지역화폐로 지급된다고 하네요.
경기 청년 지원금 4분기 경기도청년기본소득은 2022년 10월 1일 기준. 1997년 10월 2일부터 ~ 1998년 10월 1일 생년월일 대상으로 11월1일부터 30일까지 접수를 받고 이 또한 검토를 거쳐 심사가 통과되면 2022년 12월 20일부터 지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2022년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 3분기 청년지원금 신청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2022경기도청년지원금 신청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신청
만 24세 청년으로 경기도 3년이상 계속 또는 합산 10년이상 거주 조건인 경우 2022 경기도 청년 기본 소득 신청 가능하다고 했지만, 본인이 우선 대상자인지 확인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본인의 생년월일만 입력하고 손쉽게 조회가 가능합니다.
기타 추가적인 2022 경기도 청년 기본 소득 신청 방법 및 지원 대상 등 궁금한 사항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2022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 지원금 3분기
경기도청년지원금 청년기본소득신청
2022 경기도 청년지원금 청년 기본소득 신청 방법 및 필요 구비서류 유의사항 그리고 기존 경기도청년기본소득 미신청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글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오늘은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청년지원금 청년 기본소득에 대해 알아보았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고맙읍니다.

#2022경기도청년지원금 #2022경기도청년지원금3분기 #경기청년기본소득 #2022경기도청년지원금2분기 #2022경기도청년기본소득3분기 #2022경기도청년지원금지급일 #2022경기도청년지원금신청 #2022경기도청년기본소득지급일 #청년기본소득신청 #소상공인정책자금 #소상공인지원금 #지원금 #2022경기도청년지원금 #신용보증재단소상공인대출 #청년창업지원금 #소상공인정책자금대출 #국가지원금 #정부지원저금리대출 #경기도청년지원금 #소상공인지원센터 #정부지원사업 #중소기업지원금 #청년지원사업 #법인대출 #스타트업투자 #2022경기도청년지원금2분기 #2022경기도청년기본소득3분기 #2022경기도청년지원금신청 #2022경기도청년지원금4분기 #2022경기도청년기본소득 #2022청년지원금 #2022경기도청년복지포인트 #2022경기도지원금 #2022경기도청년지원금3분기 #2022경기도청년지원금2분기 #2022경기도청년지원금지급일 #2022경기도청년지원금신청 #2022경기도청년지원금4분기
경기도 보도자료를 참고하였읍니다.
'코로나 생활지원금 | 코로나 생활지원금 신청 | 코로나 생활지원금 입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 추석 차례지방쓰는법 (0) | 2022.09.09 |
---|---|
2022 추석 한가위 문구 인사말 이미지 모음.zip (0) | 2022.09.09 |
코로나 생활 지원금 정보 (2022년 9월 10일 기준) (0) | 2022.09.01 |
서울사랑상품권 10% 할인 소식 (0) | 2022.08.31 |
상생소비복권 | 상생소비복권KR | 영수증이 복권이 된다 ! | https://www.xn--zf0b650ay2a1ye9ds7b.kr/ 최대 100만원 (0) | 2022.08.31 |